반려견 결막염
반려견들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눈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오늘은 반려견들의 눈병 중에서도 흔히 걸리는 결막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아지가 눈을 긁는다던가, 안 끼던 눈곱이 낀다던가, 눈이 충혈되어 있다면 관심 있게 지켜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지금부터 결막염이 무엇인지, 왜 결막염에 걸리는지, 치료 방법은 무엇인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강아지 결막염이란? 증상은?
2. 결막염에 감염되는 경로
3. 결막염 치료 방법
1. 강아지 결막염이란?
강아지와 관련된 눈 질환 중 가장 흔한 질병이 바로 강아지 결막염입니다.
강아지의 결막은 눈꺼풀 안쪽에서 안구를 보호하는 막으로, 눈 흰자 부위에 제일 앞부분에 위치 위치해 있습니다.
바로 이 결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이 결막염인데요.
결막염은 단독으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다른 질병이 발생함에 따라 함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강아지 결막염 증상
강아지가 결막염에 걸리면 눈이 빨갛게 충혈 되고 붓기도 합니다.
노란색 혹은 녹색 눈꼽, 분비물이 늘어납니다.
강아지들은 눈에 가려움을 느끼고 눈을 긁거나 바닥에 눈을 비빌 수 있습니다.
2. 결막염에 감염되는 경로
- 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결막에 염증을 유발하여 결막염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알레르기: 환경적인 알레르겐에 민감한 강아지는 눈이나 코 주변의 결막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자극물질: 화학물질, 먼지, 연기 등의 자극물질이 눈에 들어가면 결막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외상: 눈에 외부 충격이나 손상이 발생하면 결막에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유전적인 문제: 특정 강아지의 품종은 눈의 해부학적인 특성으로 인해 결막염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 건조한 환경: 눈이 충분한 수분을 유지하지 못할 때 결막이 건조하여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리, 화학적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결막염은 대부분 초기에 빠른 조치로 완치가 가능합니다.
그 외의 원인이어도 초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대부분의 경우 예후가 좋은 질병입니다.

3. 결막염 치료 방법
강아지의 결막염 치료는 발생한 염증의 원인과 심각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아지 결막염 치료 방법의 몇 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 안약 또는 안과용 연고: 강아지의 눈에 감염이나 염증이 있을 경우, 수의사는 안약이나 안과용 연고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약품은 염증을 완화시키고 감염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항생제: 세균 감염에 의한 결막염의 경우, 수의사는 항생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감염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 항염증 약물: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항염증 약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강아지의 눈 부분에서 발생한 염증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안경 및 청결 유지: 먼지, 이물질, 알러겐 등이 결막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강아지의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눈 주위를 깨끗이 닦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알레르기 관리: 알레르기가 결막염의 원인이라면, 수의사는 알레르기 관리에 도움이 되는 안약이나 다른 치료법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 수술: 만약 결막염이 심각하거나 기타 치료법이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의사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수술을 추천할 것입니다.
반드시 수의사의 지도 아래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며, 처방된 의약품을 정확히 지키고 규정된 기간 동안 사용해야 합니다.
만약 강아지의 눈에 이상이 있다면, 즉시 수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서 반려견 결막염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강아지가 결막염 증상을 보인다면 초기에 진료를 받고 처치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병원에 바로 가기 어려운 상황에서 강아지의 눈이 충혈되고 분비물이 나오고
강아지가 계속해서 눈을 긁는다면 사람이 사용하는 안구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사람이 사용하는 인공눈물 중에서도 방부제가 없고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제품을
강아지의 안구에 떨어뜨려서 안구의 분비물을 씻어줄 수 있습니다.
반려견용 인공눈물도 있으니 구비해놓고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늘 반려견의 상태를 관찰하여 문제가 있다면 초기에 대처하고
반려견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좋겠습니다.
'반려견 양육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바나나 먹어도 될까? (1) | 2024.01.08 |
---|---|
강아지 잡채, 당면 먹어도 될까? (2) | 2024.01.05 |
강아지 떡국 먹여도 괜찮을까? (1) | 2024.01.01 |
강아지가 귤을 먹어도 될까? (0) | 2023.12.29 |
강아지 염화칼슘에 화상 입을까? (0) | 2023.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