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견 양육 정보

강아지 떡국 먹여도 괜찮을까?

by 몬mone 2024. 1. 1.

강아지 떡국

2024년 새 해가 밝았습니다.
새로운 한 해도 모두 건강하시고 행복한 일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많은 분들이 1월 1일 신정을 맞아 떡국을 드실 텐데요.
떡국을 드시면서 '우리 반려견에게 떡국을 줘도 될까?' 하시는 분이 계실 거예요.
오늘은 반려견들에게 떡국을 급여해도 되는지, 강아지가 먹을 수 있는 떡국은 어떻게 만드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반려견에게 떡국을 줘도 될까?
2. 반려견이 먹을 수 있는 떡국 만들기
3. 반려견이 사람이 먹는 떡국을 먹었다면?

 


 
 

1. 반려견에게 떡국을 줘도 될까?

 
 
보통 떡국은 소고기, 혹은 멸치를 우려낸 국물에 떡국 떡과 계란 지단, 소고기 등의 고명을 올려 먹는데요.
강아지들이 먹으면 안 되는 재료들은 아니라서 간만 하지 않으면 먹여도 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간을 하지 않은 떡국이라도 강아지에게 떡국은 급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에게 떡국을 주면 안 되는 이유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강아지에게 떡을 주어서는 안 됩니다.
떡은 쌀로 만든 건데 왜? 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맞습니다. 떡의 성분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떡의 찰기가 소화불량과 장폐색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의 치아는 찰기가 있고 쫀득거리는 떡을 씹기 힘듭니다.
따라서 충분히 잘게 씹지 못한 상태에서 떡을 삼키게 되면,
떡은 찰기가 있기 때문에 식도 붙어 질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목구멍을 잘 넘긴다고 하더라도 소화기관에 붙어 장폐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강아지에게는 떡을 급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떡은 치아에도 잘 달라붙기 때문에 치아 건강에도 좋지 않겠죠?
이러한 이유로 강아지에게 떡은 급여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떡국의 국물을 우려내는 용도로, 혹은 고명으로 소고기를 볶아서 넣는데요.
기름에 볶은 고기는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기름진 음식이 강아지의 췌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기름진 음식은 모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엇보다 사람이 먹는 정도의 간이 되어있는 음식은 강아지의 췌장이 부담이 되고 소화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사람이 먹는 음식을 강아지에게 똑같이 급여해서는 안 됩니다.
 
 

2. 반려견이 먹을 수 있는 떡국 만들기

 

 
대신, 강아지들이 먹을 수 있는 대용 떡국을 만드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첨가물이나 간이 전혀 되지 않은 강아지용 사골국으로 국물을 합니다.
기름은 최대한 걷어 내줍니다.
국물을 만들기 어렵다면 강아지용 펫밀크를 대용으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다음으로 떡국 떡은 강아지용 소시지로 대체합니다.
강아지용 소시지를 떡국 떡 모양으로 어슷하게 썰어서 넣어줍니다.
계란 지단과 소고기 고명은 기름을 넣지 않고 익혀서 소화되기 쉽도록 잘게 잘라 넣어줍니다.
이렇게 하면 강아지가 먹어도 되는 강아지용 떡국을 만들 수 있습니다.
 
 

3. 반려견이 사람이 먹는 떡국을 먹었다면?

 

 
만약 반려견이 사람이 먹는 떡국이나 떡을 먹었다면 상황을 잘 지켜봅니다.
목구멍에 걸리지 않고 소화도 잘 됐다면 다행이지만
구토를 하거나 식욕부진을 보인다면 소화가 안 되는 상태일 수 있으니 지켜보고
시간이 지나도 나아지지 않을 경우 동물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질식 증상을 보인다면 바로 가까운 동물병원을 가거나 긴급 대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긴급 상황에는 강아지의 혀를 잡아당겨 입을 크게 벌린 후 집게로 목구멍에 걸려 있는 떡을 제거해 줍니다.
이때 떡이 더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또한 집게가 아닌 손을 사용할 경우 강아지가 물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이 방법이 어려울 경우엔 강아지에 적용 가능한 스탠딩 하임리히법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떡을 제거했다고 하더라도 기도 손상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상태를 지켜보고 동물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해서 우리 반려견들이 떡국을 먹어도 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려견들에게 우리가 먹는 맛있고 좋은 것을 나누어주고 싶은 마음은 좋지만
그런 음식들이 우리의 반려견들을 아프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늘 명심하고 하나하나 확인해야겠습니다.
또한 모르고 급여하거나 내가 모르는 사이에 반려견이 그런 음식들을 먹을 수 있으므로
긴급 대처방법까지 알아두어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정보들을 잘 알아두어 건강하고 행복한 1월1일 신정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